posted by JakeYeom 2017. 10. 9. 20:12

1장. 코드에 신경 쓰기


평범한 프로그래머와 훌륭한 프로그래머의 차이 : '태도'


좋은코드를 작성하는 방법

1. 의도가 드러나는 코드 ( 남이 쉽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함)

2. 유지보수가 가능해야 함 ( 자신이나 다른 프로그래머들이 쉽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함)

3. 정확해야 함 ( 문제를 풀었다는것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함, 정삭작동을 확인해야 함 )


질문

1. 코드에 신경 쓰는가? 자신이 만든 결과물에서  그 점이 어떻게 드러나는가?

- 상대방이 잘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작성한다. 드러나는지는 확인하지 못하여 방법을 찾아야한다.


2. 프로그래머로서 더 나아지고 싶은가? 가장 노력해야 하는 부분은 어떤 부분인가?

- 성능에 대한 공부를 조금 더 해야할거 같다 + 다른 개발자들과의 협업도 생각해야 할 거 같다.


3. 코드에 신경 쓰지 않는다면, 왜 이책을 읽고 있는가?

- 코드에 신경을 쓰고 있다. 그외에도 앞으로 개발을 위해 알아두면 좋은 부분을 공부하고싶어서 책을 읽고 있다.


4. 좋은 프로그래머가 나쁜 코들르 만들 수도 있는가? 어떻게 그럴 수 있는가?

- 좋은 프로그래머 일지라도 코딩에 대한 공부를 하지 않으면 좋지 않을 수도 있다.



2장. 정돈된 코드 유지하기


관객을 위해 코딩을 하라


나의 코드를 읽는 사람 : 나, 다른동료, 미래의 유지보수 프로그래머


레이아웃 : 전체 형태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한다.


일관성 : 한가지를 골라서 일관성 있게 사용하자 ( 기본 라이브러리의 스타일을 따르는것을 추천 ) 



3장. 코드 적게 쓰기


코드는 명백하고 간결하게 작성하라


코드에 신경 써야 하는 이유

1. 코드를 길게 많이 쓸수록 유지 보수 비용은 높아진다.

2. 코드가 많을수록 읽고 이해해야 할 내용이 많음을 의미한다.

3. 코드가 많을수록 버그가 숨을 수 있는 공간도 많아진다.

4. 중복코드는 치명적이다.


∙리팩토링 : 코드가독성을 높이고, 내부구조를 향상하며, 유지 보수를 원할히 하기 위한 것이다

( 프로그램의 작동 방식을 바꾸는 '개선' 이다. UI의 조정 또한 '정돈'이지 리팩토링이 아님을 뜻한다 )


모든 주석이 코드에 가치를 더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명심하자. 코드만으로는 이유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을 때만 주석을 달아야 한다.


적절한 공백은 코드 구조에 도움이 된다. 적절학 괄호 역시 로직을 명확하게 만들어 준다.